본문 바로가기
설계

⑦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MMB: Maximum Materical Boundary)

by My archive 2024. 2. 12.
반응형

MMC

데이텀 시프팅이란?

MMC, MMB 모디파이어를 쓰는 진짜 이유

 


 

MMC의 개념

 

1. 기본

RFS (Regardless of Feature Size)

  • 꼬다리의 크기와 관계없이 공차역의 크긴느 항상 0.4파이다.
  • 최대 축간 거리= 두 축이 최대할 떨어질 수 있는 거리 (몸통의 축과 꼬다리의 축이 최대한 떨어질 수 있는 거리)
  • 최대 축간 거리는 공차역의 절반

 

2. At MMC

At MMC

  • 꼬다리의 크기에 따라 공차역의 크기도 변경된다.
  • 최대 축간 거리는 공차역의 절반

3. At MMB

AT MMB

  • MMB는 기준(몸통)의 크기에 따라 바뀜
  • 21 -> 0.2 / 20 -> 0.7 (기존 0.2에서 증가된 1의 절반인 0.5만큼 증가하여 0.7이 되는 원리)
  • 공차역의 크기가 늘어나지 않는다. !!!!!!!!!!!!!!!!!!!!!!!!!!!
  • 공차역의 시프팅(Shifting: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기 때문에 축간 거리가 늘어남

 

좌 MMC: 공차역의 크기가 커짐  / 우 MMB: 공차역의 크기가 일정함
합격..?

 

위 그림같은 경우 MMB이기 때문에 합격이 가능함. (최대 축간 거리 1.2까지 허용, 공차역 크기 일정하며, 시프팅 가능)

실제 몸통을 스캔해서 나온 축을 데이텀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실재하지 않는 MMB의 축을 데이텀으로 삼겠다는 것임

 

 

즉, MMB 쓰는 이유: 제작자 입장에서 편함, 검사를 용이하게 해줌

 

4. At MMC, At MMB 동시

동시

위 표를 보며 개념을 이해해보자

 


데이터 시프팅이란?

 

MMB

  • MMB는 몸통의 크기에 따라 최대 축간 거리가 변경됨.
  • 위 도면에서 몸통은 19~21까지 가능
  • 즉, MMB는 21파이의 사이즈를 가짐
  • 최대 축간 거리 = 0.2 + (MMB - 실제 몸통의 외경) / 2
  • 하지만 공차역의 크기는 변하지 않음
  • 왜냐하면 데이터 시프팅이 가능하기 때문

 

3D 형태

 

위처럼 몸통의 중심축이 아닌 MMB 바운더리의 중심축을 데이텀 A로 삼게 됨

 

 

여기서 MMB는 21파이, 공차역이 0.4파이인데

MMB를 이동시켜도 공차역도 같이 움직이기 때문에 공차역의 크기는 일정함.

 

 

 

즉, 모디파이어를 쓰는 이유는 제작, 검사를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함.

 


 

①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규격, 치수)

②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공차)

③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기하공차)

④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데이텀)

⑤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위치공차)

⑥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모양공차)

⑦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MMB)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자세공차)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흔들림공차)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윤곽도)

 도면해독능력 키우기 (BCD/홀의 표기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