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초3 반도체의 기초 - ③ 웨이퍼(Wafer) 웨이퍼는 반도체를 제작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기판이다. Si(규소, 실리콘)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왜 Si를 사용할까? 1. 지구에서 산소 다음으로 많이 존재해서 가격이 매우 쌈 (그냥 밖에 보이는 모래 생각하면 됨) 2. 안전함. (보통 최근 이슈되는 이차전지의 주요 재료는 리튬, 코발트, 황화물 등이 있는데 가격도 비싸고 독성도 있음) 앞서 말했던 시스템 반도체, 메모리 반도체에 포함된 모든 반도체는 모두 이 웨이퍼 위 미세한 회로를 쌓아 만들어진다. 웨이퍼 위에는 수백 개의 칩이 만들어지고, 그 칩을 잘라내어 하나의 제품이 생산된다. 웨이퍼는 잉곳이라는 단결정 괴를 만들어 가공 후 사용된다. 보통 Czochralski 기법을 통해 웨이퍼가 제조되는데 이와 같이 단결정 괴를 만들고 한 면씩 잘라내는.. 2024. 1. 30. 반도체의 기초 - ② 반도체 산업 반도체를 제조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업체가 존재한다. 위와 같이 반도체 산업은 여러 공정을 거쳐 완성된다. 이렇게 보면 몹시 복잡해 보일 수 있기에 간단히 건물을 건축할 때를 예로 들어보겠다.1. 도면을 통해 아파트의 구조를 설계한다. 2. 건설 현장에서 설계를 토대로 시공한다. 3. 시공이 완성되면 외형과 내부를 인테리어한다. 4. 완성된 건물이 안전한지 점검한다. 반도체도 똑같다.1. 반도체의 회로를 설계한다. 2. 반도체의 전공정을 거쳐 제조한다. 3. 후공정을 통해 내부와 외부를 인테리어한다. 4. 반도체가 정상적으로 제조되었는지 테스트한다. 즉, 이와 같은 네 순서에 따라 기업이 추구하는 방향도 다르고 산업도 다르다. 이제 그 반도체 산업에 대해 정리를 해보겠다. 설계전공정후공정판매ID.. 2024. 1. 30. 반도체의 기초 - ① 반도체란? SK 청년 하이파이브의 플립러닝을 수강하면서 재정리할 겸 글을 작성해보기로 했다. 반도체가 무엇일까? 우리나라 산업의 중추가 된 반도체, 이로 인해 우리나라 산업을 발전해 왔고 현재 최고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국이 되었다. 하지만 반도체가 있다. 라는 것을 알지만 이것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자세히 아는 사람은 많이 없다. 나 역시 어릴 적부터 컴퓨터를 좋아했기에 컴퓨터의 부품이 무엇인 지는 알고있었으나 자세히 무엇인지는 몰랐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는 항상 반도체와 함께 한다. 우리는 아침에 휴대폰 알람 소리를 듣고 기상한다. 간단히 씻고 아침을 먹으며 정수기나 커피 머신을 통해 물이나 커피를 마신다. 등교를 하거나 출근을 하면 에어팟/버즈를 통해 노래를 듣거나 영상을 본다. 직장인의 경우 지문인식을 통해.. 2024. 1.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