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K 청년 하이파이브의 플립러닝을 수강하면서 재정리할 겸 글을 작성해보기로 했다.
반도체가 무엇일까?
우리나라 산업의 중추가 된 반도체, 이로 인해 우리나라 산업을 발전해 왔고 현재 최고의 메모리 반도체 제조국이 되었다.
하지만 반도체가 있다. 라는 것을 알지만 이것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자세히 아는 사람은 많이 없다.
나 역시 어릴 적부터 컴퓨터를 좋아했기에 컴퓨터의 부품이 무엇인 지는 알고있었으나 자세히 무엇인지는 몰랐었다.
우리의 일상생활에는 항상 반도체와 함께 한다.
우리는 아침에 휴대폰 알람 소리를 듣고 기상한다. 간단히 씻고 아침을 먹으며 정수기나 커피 머신을 통해 물이나 커피를 마신다. 등교를 하거나 출근을 하면 에어팟/버즈를 통해 노래를 듣거나 영상을 본다. 직장인의 경우 지문인식을 통해 출근을 하며 컴퓨터를 켜고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학생의 경우 태블릿PC를 통해 필기를 하며 수업을 듣는다. 집으로 돌아온 후 시리/빅스비로 음성 인식AI를 통해 난방/에어컨을 켜고 TV를 시청하곤 한다.
방금 위에 있던 내용처럼 반도체는 우리 생활 속에 존재하는 물건, 전기로 작동하는 모든 제품에 사용된다.
반도체의 사전적 의미는 위와 같다.
하지만 더 간단히 설명하자면
특별한 조건이 충족될 때만 전기가 통하는 물질로, 상황에 따라 전류를 조절하는 데 사용되는 물질이다.
그래서 반 + 도체이다.
우리가 흔히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CPU, 그래픽카드, 블루투스, 와이파이, 램, SSD, 하드디스크 모두 반도체에 속한다.
통상적으론 실리콘 SI로 만들어진 트랜지스터, IC, LED, 센서와 같은 부품이나 소자를 우린 반도체 라고 부른다.
반도체 소자가 갖춰야 할 특성
1. 발열 ↓
2. 전력 소모 ↓
3. 속도 ↑
삼성과 TSMC와 같은 회사에서는 위와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투자하고 있다.
반응형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의 기초 - ③ 웨이퍼(Wafer) (0) | 2024.01.30 |
---|---|
반도체의 기초 - ② 반도체 산업 (2) | 2024.01.30 |